Daum FS

[스크랩] [ 드림플릿 737-400 ] 2. Autopilot MCP, FMA

namida 2011. 10. 24. 19:05
MCP는 Autopilot Mode Control Panel의 약자로, 자동비행을 할 때 기체를 제어해주는 패널입니다. 비행 준비단계에서도 조작이 필요하므로 본격적인 비행에 앞서 배치했습니다. MCP에 익숙치 않으신 분들은 참고해 주세요.
[ + , - 부분은 마우스 좌/우 클릭으로 입력값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


COURSE SELECTOR AND DISPLAY : VOR 코스를 넣어줍니다. 이 계기는 NAV1과 EHSI와 연동됩니다.

FLIGHT DIRECTOR SWITCH : 피치/롤 모드가 가리키는 Flight Director 막대를 EADI에 나타내줍니다. F/D는 EADI에 가로/세로로 표시되는 두개의 막대로, 고도나 헤딩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 비행기가 날아가야 할 방향으로 움직입니다. 이 스위치는 이륙시 TO/GA 스위치를 누르더라도 자동으로 켜지지 않으므로 직접 켜주어야 합니다.

AUTOTHROTTLE ARM SWITCH : ARM 위치로 놓아서 AutoThrottle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A/T 스위치는 오토파일럿과는 별개로 동작하며, 오토파일럿 마스터 스위치를 꺼도 함께 꺼지지 않습니다. [ 단축키 Shift + R ]

N1 MODE SWITCH : EIS 패널에서 설정된 N1값을 유지합니다. 일반적인 비행에서는 거의 사용할 일이 없으며, EIS 패널 하단에 있는 두개의 스위치를 당긴 후 설정값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보통 FMC와 함께 동작합니다.

SPEED MODE SWITCH : AutoThrottle이 ARM 되어있는 상태에서 이 스위치를 켜면, IAS/MACH 창에 설정된 속도를 유지하게 됩니다. [ 단축키 Ctrl + R : 현재 속도값이 자동으로 IAS/MACH 창에 설정되면서 활성화 됩니다 ]

SPEED SELECTOR, IAS/MACH CHANGEOVER SWITCH, and IAS / MACH DISPLAY WINDOW : 오른쪽의 흰색 다이얼을 돌려 AutoThrottle이 유지할 속도를 설정합니다. 속도를 설정한 후에 앞서 설명한 SPEED SWITCH를 눌러 활성화 시킵니다.

왼쪽의 작은 버튼을 누르면 IAS/MACH 표시기에 노트와 마하 단위 속도표시가 번갈아 표시됩니다. 보다 현실적인 비행을 위해서 비행기가 26,000피트 이상으로 올라가면 자동으로 마하 속도가 표시됩니다.

VNAV MODE SWITCH : Vertical Navigation 스위치로, FMC와 연계되어 동작하며, AFDS 및 MCP만을 이용해 비행하는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VNAV는 비행기의 위/아래 움직임, 즉, 고도 조절을 담당합니다.

LEVEL CHANGE MODE SWITCH : A/T에 설정된 비행속도를 우선적으로 유지하며 고도를 변경합니다. 만약 속도를 줄임과 동시에 목표고도를 낮추었다면, 비행기는 속도를 먼저 줄이고, 지정된 속도를 유지하는 한도 내에서 서서히 하강하게 됩니다. 상승 및 하강중에 ALT HLD 스위치를 눌러 LEVEL OFF 할 수 있습니다.

HEADING MODE SWITCH, HEADING SELECTOR, HEADING DISPLAY, and BANK ANGLE SELECTOR : 위쪽 두곳의 클릭지점을 눌러 헤딩값을 정한 후, 아래의 헤딩 모드 스위치를 눌러 활성화 시킵니다. [ 단축키 Ctrl + H : SPEED 스위치와 마찬가지로, 현재 헤딩값이 자동으로 설정되면서 헤딩 모드가 활성화됩니다 ]

아래쪽 두개의 클릭지점을 눌러서 비행기가 선회할때 기우는 정도(뱅크각)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10, 15, 20, 25, 30도로 설정할 수 있으며, 기본값은 25도입니다.

LNAV MODE SWITCH : Lateral Navigation 스위치로, VNAV가 비행기의 고도 조절을 담당하는 반면, LNAV는 항공기의 비행방향, 즉, 좌/우에 관한 자동비행을 담당합니다. LNAV 역시 FMC와 함께 사용됩니다.

VNAV와 LNAV 모드는 FMC의 설정이 완전히 이루어진 상태에서만 활성화 할 수 있습니다. RTE나 LEGS 페이지 상단의 제목이 ACT 로 시작하거나, EHSI의 루트가 자주색 선으로 되어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VOR LOC MODE SWITCH : VOR Radial 및 로컬라이저의 신호를 받아 항로를 쫓아갑니다. 기본 기체의 NAV, LOC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셈입니다. 모든 비행기가 그렇듯이, 우선 적절한 진입각으로 맞추어 항로에 진입한 다음에, 이 모드를 활성화 시켜 주는것이 바람직합니다.

APPROACH MODE SWITCH : 활주로에 설치되어 있는 로컬라이저와 글라이드 슬로프의 신호를 받아 파이널 어프로치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NAV1에 ILS 주파수를 입력 후 적절한 시점에서 스위치를 눌러 사용(Arm)합니다.

듀얼 오토파일럿 모드는 단지 Redundancy(여유분)를 위함일뿐, 별 차이는 생기지 않습니다. NAV2에도 NAV1과 동일하게 ILS 주파수를 입력해주고, 싱글 오토파일럿 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 추가로 CMD B 오토파일럿 스위치를 눌러줍니다. 싱글/듀얼 오토파일럿 모두 터치다운시 적절한 하강속도를 보여주지는 않기 때문에, 적어도 약 50피트 정도에서는 수동으로 플레어를 해주는게 좋을듯 합니다. (참고로 APP 모드는 VOR과 함께 사용될 수 없습니다)

ALTITUDE HOLD MODE SWITCH, ALTITUDE SELECTOR, ALTITUDE DISPLAY : 다이얼을 클릭해서 고도 표시창에 목표고도를 설정합니다. 단순히 목표고도를 설정하는것 만으로는 고도를 변경할 수 없으며, 아래에 설명될 V/S 및 LVL CHG 스위치를 사용해야 합니다.

ALT HLD 스위치를 눌러 비행기가 즉시 상승 및 하강을 멈추고 현재 고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이 활성화 되면 스위치가 점등되거나, 또는 점등되지 않는 대신 FMA 상단 부분에 ALT HLD 표시가 나타납니다. (상승 및 하강을 끝내고 수평비행에 들어가는것을 LEVEL OFF라고 하며, ALT HLD 스위치가 하는 역할이기도 합니다)

FMC에 의해 비행기가 조종되는 경우에는 비행고도가 아닌 최대 상승 고도 및 하강 고도를 나타냅니다. 비행기는 현재 비행중인 고도와 MCP에 설정된 고도 사이에서만 비행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FMC의 항로중에 29,000ft까지 상승하는 웨이포인트가 있더라도, MCP에 설정된 고도가 18,000ft라면, 비행기는 18,000ft까지만 상승한 후 LEVEL OFF 하게 됩니다. 이와 비슷하게, 하강시에도 APP 모드가 활성화되어 어프로치 중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MCP에 설정된 고도 아래로 내려갈 수 없습니다. MCP의 고도 제한을 풀어주면 비행기는 다시 자동적으로 목표고도까지 상승 및 하강을 시작합니다.

즉, MCP에 설정된 고도가 비행기의 최대 상승/하강 고도가 됩니다.

VERTICAL SPEED MODE SWITCH, VERTICAL SPEED THUMBWHEEL, and VERTICAL SPEED DISPLAY : V/S 스위치를 눌러 활성화 시킨 다음, 옆에 위치한 휠을 이용해 상승률을 조절합니다. 비행기는 A/T에 지정된 속도보다는 지정된 상승률을 우선시 하여 상승 및 하강을 하게 됩니다. (결국 속도가 지켜지지 않더라도 상승률을 맞추게 됩니다) LVL CHG 모드와 마찬가지로 ALT HLD 스위치를 눌러 LEVEL OFF 할 수 있습니다.

AUTOPILOT ENGAGE SWITCHES : 오토파일럿을 활성화 시킵니다. 두개의 스위치중 A, B 하나만 사용하며, APP 모드에서 듀얼 오토파일럿 모드를 활성화 시킬때에만 함께 켜질 수 있습니다.

AUTOPILOT DISENGAGE BAR : 별개로 동작하는 A/T을 제외한 오토파일럿의 모든 기능을 해제시킵니다. 이 스위치를 누르면 AUTOPILOT ENGAGE 스위치가 꺼지고, 다른 스위치들이 활성화 되어 있더라도 비행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됩니다. [ 단축키 : Z ]


MCP에서 활성화된 모드의 버튼이 항상 켜져있는것은 아닙니다. 즉, HDG SEL, VNAV, LNAV 버튼은 한번 활성화 시키면 다른 모드로 진입하기 전에는 꺼지지 않지만, LVL CHG, V/S 버튼은 고도의 변경을 마치고 지정된 고도에 도달하면(가까워지면) 상태가 변하게 됩니다.

FMA(Flight Mode Annunciator)는 현재 활성화된 오토파일럿 모드를 나타냅니다. MCP는 정보를 입력받기 위해, FMA는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고 생각하면 이해하기가 쉬울것 같습니다.

FMA는 네부분으로 나뉘어집니다. 각 부분마다 표시되는 관련 항목들이 다르죠. 현재 FMC는 사용하지 않고, 이륙 후 8,000피트로 상승중입니다.

활성화 되어있는 모드는 CMD AHDG SEL, 그리고 LVL CHG 모드입니다.

LVL CHG 모드는 엔진 최대출력인 N1 모드를 이용해 설정 속도를 유지하면서, 충분한 속력를 얻고난 후에 남는 에너지를 상승에 사용하는 모드입니다. 이와는 반대로 하강시에는 엔진출력을 완전히 없애고, 설정 속도를 유지하면서 하강율을 조절하게 됩니다.

참고로, FMA에 보이는 네모난 테두리는 해당 모드가 이제 막 활성화 되었다는 뜻으로, 10초정도가 지난 후 사라집니다.

MCP 설정속도인 200노트를 유지하면서, 목표고도인 8,000피트에 가까워지자 LVL CHG 버튼이 꺼지고 SPEED 버튼이 켜지면서 활성화됩니다.

이와 동시에 FMA에는 MCP SPD 모드와 ALT ACQ 모드가 활성화되면서 속도와 고도 유지를 준비하게 됩니다.

VNAV를 사용할때는 FMC SPD가 표시됩니다.

ALT ACQ 모드일 경우에는 APP버튼이 활성화되지(arm) 않습니다. 현재 비행기가 상승 및 하강중이기 때문에, 목표고도에 도달해서 ALT HLD 모드가 되기 전에는 로컬라이저 또는 글라이드 슬로프를 인터셉트 할 수 없다는 뜻이죠. 간혹 하강시점을 놓치면 이렇게 곤란해질 때가 있습니다.

곧이어 고도 경고음이 들리고, 비행기가 8,000피트에 도달하면 ALT HLD 모드가 활성화됩니다.

이제 비행기는 순항에 들어갑니다. 현재 상태에서 MCP의 고도를 수정하면 V/S 모드가 arm 되며 FMA에도 표시됩니다.

VNAV를 사용할때는 VNAV PTH가 표시됩니다.

이 외에도 V/S 모드, ALT HLD 버튼 등의 활용이 있지만, 이정도면 충분히 찾아내실 수 있을거라 믿-_-고 설명을 마칠까 합니다. 혹시 MCP의 사용중에 특정 버튼이 눌러지지 않는 상황이 생기면 고도를 변경해 보세요. 그런다음 필요한 버튼을 눌러 활성화시켜주면 됩니다.
출처 : 플라이트 시뮬레이터
글쓴이 : namida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