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um FS

[스크랩] [ 윌코 767-300 PIC ] 3. FMC 입력절차

namida 2011. 10. 24. 19:05
1 : 이 부분을 클릭하면 FMC 윗부분에 KA 라는 표시가 나타나고, 키보드를 이용해 FMC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게 됩니다.

2 : CLR를 눌러 메시지를 지웁니다.

바로 1L LSK, 6R LSK를 눌러 POS INIT 페이지로 넘어갑니다.

1 : 출발 공항인 RKJJ를 입력합니다.

2 : 항로 입력을 위해 6R LSK를 누릅니다.

1 : 역시 출발지인 RKJJ를 입력합니다.

2 : 도착지인 RKSS를 입력합니다.

3 : 편명은 영문과 함께 적을 수 있습니다.

4 : 저장된 항로를 불러오기 위해 사용됩니다. 미리 저장된 항로가 있다면 입력과 동시에 저장된 내용이 로딩됩니다. CO ROUTE는 입력하지 않아도 무관하며, 이 경우에는 항로 설정을 모두 마친 후 Activate 시켜주면 됩니다.
단, 새로운 항로를 모두 잡아준 다음 이 CO ROUTE를 입력하면 잡아준 항로가 모두 사라지게 되니 주의하세요. (항로 초기화)

5 : Activate를 눌러주고, 6 : EXEC까지 눌러줍니다.

곧바로 Next Page 버튼을 눌러보면 친절하게도 ALADI에서 B576 항로를 따라 OSN까지 가도록 항로가 입력되어 있습니다.

만약 입력되어 있지 않다면 직접 입력해 주세요.

1 : 인터섹션(ISEC)인 ALADI를 지나면서..

2 : B576 항로에 진입, (BOTKI - PATRO - NAMJA를 지나..)

3 : OSN VOR에서 항로를 빠져나옵니다.

1 : HSI를 Plan 모드, 80nm로 설정하고 LEGS 버튼을 누릅니다.

2 : ND 화면을 보면서 6R LSK를 눌러 항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항로를 약간 수정해보겠습니다.

1 : KUZ100/KWA012를 스크래치 패트에 적은 다음 2L LSK를 눌러 북위 35도 상에 있는 VORDME(1L LSK)를 선택합니다.

2 : KUZ01이라는 새로운 FIX가 입력되었습니다. 이제 BOTKI ISEC을 지우면서 곧바로 PATRO를 향하도록 PATRO를 선택,

3 : KUZ01 바로 다음 위치에 입력해 항로를 연결합니다.

4 : EXEC를 눌러줘야겠죠.

여기에서 입력한 값은 KUZ VOR에서 100도, KWA VOR에서 12도 방향에서 만나는 지점을 뜻합니다. 이 지점이 BOTKI 인터섹션과 거의 같은 지점이므로 바로 PATRO를 향하도록 했습니다.
(많은 인터섹션들이 이런식으로 정의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제 INIT REF 버튼을 눌러 PERF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HSI는 원래대로 Map 모드, 10nm로 돌려놓습니다.)

1 : 윌코 767의 ZFW는 245.281입니다. 245.3을 입력합니다.

2 : 연료가 4(4,000lbs)보다 적어지면 경고를 나타내도록 합니다.

3 : 순항고도는 FL240, MCP의 고도역시 24,000으로 설정합니다.

4 : Cost Index는 B767 표준값인 80을 넣어줍니다.

5 : 이륙 설정 페이지로 넘어갑니다.

1 : 이륙시 사용할 플랩은 15도 입니다.

2 : 이륙 절차를 입력하기 위해 DEP ARR 페이지를 불러옵니다.

V-Speed는 이륙 활주로와 플랩 설정이 완료된 후에 산출됩니다. 이륙 활주로를 먼저 정한 다음 그에따라 이륙절차를 입력하는것이 상식적으로도 올바른 순서인듯 하지만.. 어떻게 하다보니 이렇게 되어버렸습니다.. -_-;

1 : 이륙시 04L 활주로를 이용합니다.

2 : SID 절차는 이번 비행에서 생략하고.. EXEC를 눌러줍니다.

3 : 이제 INDEX로 바뀐 6L LSK를 눌러 DEP ARR 페이지를 다시 불러온 후, 2R LSK를 눌러 착륙 절차를 입력합니다.

1 : 김포공항 32R 활주로에 착륙하겠고,

2 : STAR 절차는 NAMJA1E를 따릅니다.
(NAMJA - ILJUK - KALMA - CHENA)

3 : LEGS 페이지를 불러와 항로를 확인합니다.

이륙 활주로까지 정해졌으므로 V-Speed가 계산되어집니다.

윌코 767의 속도계에도 Speed Bug를 셋팅할 수 있는 숨겨진 클릭 지점이 있습니다. 오른쪽 부분을 클릭해서 직접 Bug를 움직일 수 있고, 왼쪽 하단 부분을 클릭하면 이륙 참조속도가 자동으로 셋팅됩니다. (MCP의 속도계는 V2로 설정됩니다.)

비행중에 다시 왼쪽 하단 부분을 클릭하면 착륙 참조속도가 셋팅됩니다.

아마도 이륙시는 V1, V2, VFE.. 순서, 착륙시는 시간이 지나면서 Bug가 조금씩 낮아지는걸로 보아 플랩 전개속도가 아닐까 싶네요.

1 : Next Page 버튼을 눌러보면 역시나 항로가 끊어져 있습니다. 4L LSK를 눌러 FAF01을 스크래치 패드에 입력,

2 : 3L LSK를 눌러 끊어진 항로를 연결해 주고..

3 : EXEC를 눌러줍니다.

4 : 곧이어 VNAV 버튼을 누릅니다.

1 : 10,000피트 이하에서는 250노트 이상의 속도를 내지 못하도록 제한 설정을 해줍니다. (여기서는 240으로 적어주었습니다.)

Next Page 버튼을 누번 눌러 DES 페이지에서도 마찬가지로 제한속도를 적어줍니다. (하지만 이 속도들은 지켜지기 어렵습니다.)

2 : 국내 전이고도인 14000(ft)을 입력합니다.

3 : EXEC~

이제 FMC 입력절차가 끝났습니다. 원한다면 Menu - 5R LSK - 1L LSK - RKJJRKSS - 5L LSK - 6L LSK를 눌러 항로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끝으로 LEGS의 항로에 규정에 맞는 속도를 설정해줍니다. (Seoul 관제 영역에서는 10,000피트 이상에서는 250노트, 10,000피트 미만에서는 210노트를 넘지 말아야 합니다.) NAMJA에서 240노트, 이후의 Fix는 모두 200노트로 설정합니다.

이 부분은 선택사항이며, 하강시 수동으로 속도를 조절해도 됩니다.

출처 : 플라이트 시뮬레이터
글쓴이 : namida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