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um FS

[스크랩] [ 윌코 767-300 PIC ] 1. 소개 및 시동절차

namida 2011. 10. 24. 19:03
제품명Wilco Publishing - 767 Pilot In Command
난이도★★★★
프레임★★
기타완성도가 높고 기능이 다양해 배워야 할 점이 많음
FixRadial/FixRadial 형식의 웨이포인트 지정이 가능함
IRU 정렬이 잘못될 경우 항로를 벗어날 수 있음 (Map Shift)
별도로 동작 가능한 두개의 항로 입력이 지원됨 (RTE1, 2)
오토파일럿의 속도 조절이 매우 좋지 않음
네비게이션 데이터가 다소 부족한 편
프레임 레이트가 대단히 좋지 않음

이 기체 역시 FS2000용으로 제작된 것으로, 패치 후 FS2002에서 문제없이 비행이 가능합니다. 다른 상용기들에 비해 기능이 조금 더 다양한 편인데, 그 말은 곧 조작방법이 더 어려울 수 있다는 말이 됩니다. 게다가 프레임 레이트 역시 좋은 편은 아니어서 일단 한번에 끌리는 기종이라고 할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완성도가 높은 편이기 때문에 윌코 767을 주력기종으로 하는 분들이 많이 있는것도 사실입니다.

처음 상용기 및 FMC에 도전하게 된 것이 이 윌코 767입니다. 제일 어려운 기종(제 생각에)을 처음 배우느라 고생을 많이 했었지만, 그래도 그때를 생각하면 웃음이 납니다. 잘 가다말고 오토파일럿이 꺼지질 않나.. 버튼도 안눌러지고 착륙 직전에 갑자기 위로 올라가면서 엉뚱한데로 날아가 버리는 둥.. (덕분에 DF734는 쉽게 배울 수 있었죠 ^^;)

시동 절차는 앞서 올린 DF734와 같이 간단한 형식으로 만들었습니다. 준비절차 수행시 영어로 된 항목이 많이 있고, 그림까지 모두 보여드려야만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은 아니라고 생각되어 예전부터 생각해왔던 이 방법을 택했습니다. (아무래도 그림이 많은 정감있는 글보다는 못하겠지만 그리 어렵지만은 않을듯 싶습니다.)


준비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Cold and Dark Cockpit 패널을 불러옵니다. PIC - Panel - Load a panel from a flight를 선택하고, 767 PIC Cockpit preparation을 불러옵니다. 이미 활성화되어있는 항목은 회색으로 적어놓았습니다만, 모든 스위치가 꺼져있다는 가정 하에 진행하도록 합니다. (구지 일부러 모든 스위치를 끌 필요는 없겠죠.)

1 : Battery - On, Standby Power Selector - Auto

2 : APU - Start
(잠시 후 RUN 표시와 함께 동작하게 됩니다.)

3 : APU Gen Switch - On
Bus Tie Switches - Auto
Utility Bus Switches - On

4 : APU Bleed Switch - On
Center Isolation(ISLN) Valve - Open

External Power는 PIC - Ground requests - Power connection을 선택해서 스위치를 Avail 상태로 만든 다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위 부분의 순서는 함축, 요약했으므로 실제 준비절차의 순서와 다를 수 있습니다.)

1 : IRU Switches - Nav, Data Input (3개)

2 : Yaw Damper Switch L - On / R - On or Off
(L : Yaw Damper, R : Autorudder)

3 : Elec Eng Control Switches - On [Pedestal]

4 : Primary Hydraulic Pump Switches - On

ALIGN 문자가 표시되며 정렬되는중에 IRS 패널의 DSPL SEL 스위치를 HDG 위치로 돌리면 정렬 완료까지 남은 시간이 표시됩니다.

IRU는 비행기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장치로, 스위치를 NAV 위치로 돌리면 조종사가 IRS 패널 또는 FMC에 입력한 좌표값을 이용해 정렬을 시작합니다. (원래는 입력을 해주어야 하지만 윌코 767 패널에서는 기본값으로 자동 정렬이 가능한 상태로 되어있으므로 아무런 입력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IRS 부분에서 설명합니다.)

1 : Ignition Selector - Single (1 or 2)

2 : No Smoking Sign - On
Fasten Seat Belts Sign - Auto

3 : Left, Right Isolation(ISLN) Valves - Open

4 : Pack Switches - Auto
Trim Air Switch - On
Recirc Fan Switches - On

5 : F/D - On [MCP]
(껐다가 다시 켜줌 - TO 모드 활성화)

이제 FMC를 설정하고 계속해서 이어지는 Before Pushback 절차를 수행합니다. (FMC 입력 절차 참조)

참고로 1번 위치에 Ram Air Turb 스위치가 있는데, 고장 등의 이유로 엔진이 모두 멈추면서 전력 공급이 중단되고 유압이 상실되어 기체 조종이 불가능할 경우, 기체 아랫부분의 프로펠러 터빈을 동체 밖으로 꺼내어 최소한의 기체 조종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일단 전개가 되면 착륙 후 지상요원에 의해서만 원위치 시킬 수 있습니다. (PIC - Ground requests - Restow Ram Air Turbine)

이는 APU와 비슷하지만, APU는 연료를 소모하는 일종의 제트엔진으로, 연료부족으로 인해 엔진이 멈췄을 경우에는 사용할 수가 없습니다. 이 RAT 덕분에 피해를 줄인 사고기록도 있네요..

1 : Altmeter - Set Current Press.

2 : HSI(ND) - Map Mode, 10nm Range

3 : FMC - Take Off Ref Page (Init - Takeoff)

4 : Com/Transponder - Set

공항의 ATIS 정보를 참고하거나, 키보드의 B 키를 눌러 현재 기압을 설정합니다. 필요한 경우 통신 주파수를 맞추어 비행 허가를 받고 게이트일 경우 푸쉬백을 시작합니다. (푸쉬백이 끝나면 파킹 브레이크를 걸어줍니다.)

1 : Hyd Elec Pump Switches - On (2개)
Hyd Demand Pump Switches - Auto (3개)

2 : Pack Switches - Off

3 : Fuel Pump Switches - On
Fuel CrossFeeds Switch - Open

4 : Beacon Light - On

유압계통 스위치를 모두 On, Auto로 놓습니다. 엔진 스타트를 위해 Pack 스위치를 꺼주고,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기 시작합니다. Pack 스위치 하단의 Pressure 게이지가 35 PSI 이상을 가리키고 있는지 확인하고, 엔진이 동작중임을 지상에 알리는 Beacon Light도 켜줍니다. (메인 패널 상단의 RED Anti-Collision Light)

추가로, Center Fuel Tank에 1,200lbs 이상의 연료가 있을 경우 Center Fuel Pump 스위치들을 켜줍니다. 이럴 경우 연료는 중앙에서만 소모되며, 비행중 Low Pressure Warning이 나오면 Center Fuel Pump 스위치들을 꺼줍니다.

1 : Left(Right) ENG Start Selector - GND

2 : at N2 18% [EICAS]

3 : Left(Right) ENG Fuel Control Switch - Run
[Pedestal]

4 : Fuel CrossFeeds Switch - Close

간혹 Duct Pressure가 20PSI 정도밖에 나오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럴 경우는 L/R Eng Starter를 한번씩 GND로 돌렸다가 다시 OFF 위치로 놓으면 복구됩니다. -_-; (옛날엔 이렇지 않았었는데;;)

스타트가 완료되면 이미 연결되어있는 Engine Generator와 Engine Bleed를 통해 전력과 Bleed Air가 공급됩니다.

1 : Gen Cont Switches - On
APU Gen Switch - Off

2 : APU Bleed Switch - Close
Engine Bleed Switches - On
Left, Right Isolation(ISLN) Valves - Close

3 : Pack Switches - Auto

4 : APU - Off

5 : Engine/Wing Anti-Ice - As Required

이제 APU를 꺼주고, 다시 Pack 스위치를 켭니다. 외부 온도에 따라 Anti-Ice 스위치를 사용합니다.
출처 : 플라이트 시뮬레이터
글쓴이 : namida 원글보기
메모 :